본문 바로가기
서울의 마천루

주상복합 아파트가 가장 높다고?

by 돌풍돌핀스 2021. 12. 31.
728x90
반응형

1985년 완공된 63빌딩은 거의 20년을 우리나라 최고층 빌딩으로 위세를 떨쳤다. 그사이 많은 계획들이 있었지만 90년대 모두가 아는 IMF가 오면서 다 무산되었다. 삼성그룹이 도곡동땅에 지으려던 일명 시너지타워가 대표적이다. 

그렇게 63빌딩의 상징성이 더욱 짙어질때쯤 갑자기 목동과 도곡동에 당시 이름도 낯설던 주상복합아파트를 짓는다했다. 물론 이 건물들도 착공당시에 원대한 꿈을 가졌다 사그러진 다른 건물들처럼 될거라는 생각들도 많았는데 어쨌건 63빌딩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서울에서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등극한다. 

1) 목동 하이페리온 

90년대초반 정부의 200만호 대책이 발표되고 1기 신도시가 완공될때쯤 서울에는 더이상 택지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빈땅이 있더라도 대부분 상업시설이었다. 게다가 엄청난 공급의 여파로 80년대와 같은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요원해졌으며, 주택을 주로짓던 건설사들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 때 대형건설사 삼성과 현대는 주상복합이라는 새로운 형태를 들고 나온다. 용적률을 엄청 높이면서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는 아파트 현재 성수동과 동탄, 용산 등에 새롭게 생기는 주상복합들도 엄청난 편의시설과 화려함을 자랑하지만 사실 초창기 주상복합의 틀을 완전히 바꾸진 못하고 있다.

목동하이페리온

1998년 현대건설이 지은 첫번째 하이페리온이다. 1999년 이전부터 터파기 공사가 진행되었고, IMF때 시행사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한무쇼핑(사실 그래봤자 현대백화점과 무역협회 합작법인이지만)이 시행을 맡아 공사를 지속하게 되었다. 

2003년 6월에 입주했으며, 최고 높이 69층, 256m로 18년간 지켜온 63빌딩의 오랜기록을 깨고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 되었다. 특히 높은 건물이 많이 없는 서울 서쪽에서 이건물은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낸다. 상도동 쪽에서 바라봐도 일산에서 봐도 인천공항에서 봐도 너무나 잘보이는 건물중 하나이다. 

지하3층에서 지상7층은 현대백화점 목동점이 있으며 오목교역과 연결되어 있다. 

이곳을 시작으로 목동에는 정말 많은 주상복합 아파트가 생겼다. 삼성물산의 트라팰리스, 삼성중공업의 목동쉐르빌, 현대건설의 하이페리온 2, 대우건설의 목동 센트럴푸르지오 등이 대표적이다. 

2) 도곡동 타워팰리스

목동 하이페리온의 기록은 불과 1년뒤인 2004년 도곡동에서 깨지게 된다. 도곡동 타워팰리스, 지금도 부촌의 상징이고 주상복합아파트의 대명사 같은 곳이지만 1990년대만 해도 대치동과 개포동 사이는 판자촌이었다. 1994년경 삼성그룹이 그룹관계사(그들은 계열사라 안하고 꼭 관계사라 부른다)들과의 시너지를 목적으로 102층, 396m의 삼성시너지타워(가칭)을 건축하고자 땅을 사들였으나 IMF로 좌절되고 그 대안으로 주상복합 아파트를 지어 분양사업을 진행하게 된것이다. 타워팰리스 1차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2002년 완공하였고, 타워팰리스 2차는 삼성중공업 건설사업부가 2003년에 그리고 가장 높은 G동이 포함되어 있는 3차는 2004년 두 회사가 같이 건축하였다. 

타워팰리스

G동은 263m로 하이페리온이 1년간 유지해온 최고층 빌딩의 자리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은 이때의 대형개발 산업을 통한 기술축적으로 트라팰리스, 쉐르빌, 타임브릿지 등 많은 주상복합과 초고층 건물을 연이어 수주하게 된다. 

타워팰리스3차

생각해보면 상업시설보다 주거시설이 최고층 빌딩이라는건 좀 아이러니하다. 그만큼 사무실 임대가 이루어지지 않아서일수도 있고, 군사적인 이유일수도 있지만 세계적인 도시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는 건물들이 아파트라니......

지금이야 주상복합의 환금성이 떨어지고 토지보유가 적어 과거만큼 투자처로 각광받지 못하고 있지만 정말 집을 살(Live)곳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자들에게는 엄청 편리하고 매력적인 주거지이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벌어진 이후부터는 대한민국에 마천루가 우후죽순으로 생기기 시작한다. 그래도 내 블로그는 서울에 관련한 이야기를 하는 곳이니까 간단하게 훑고 IFC로 넘어갈 계획이다. 

다음 포스팅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