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의 마천루10

드디어 롯데월드타워 이제 서울하면 너무 당연히 떠오르는 곳인 롯데월드타워 서울의 마천루하면 너무 당연히도 떠오르는 건물이다. 지상 123층, 높이 554.5m로 2022년 기준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임은 물론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현재 롯데그룹 본사이며 전체 면적은 420,309.54㎡(127,143평)이다. 앞선 포스팅에서 소개한바 있지만 63빌딩와 롯데월드 타워사이에도 이미 많은 높은 건물들이 들어섰지만 도곡동 타워팰리스, 목동 하이페리온, 용산 래미안 첼리투스는 주거용 건물이라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었고, IFC 빌딩과 전경련 회관, 파크원 빌딩등은 사무용 빌딩이라 특별한 전망대 시설이 있지 않았다. 2017년 준공당시 일하던 회사가 롯데와 관련이 있어 소방훈련에 참여한 적이 있다. 위에도 올라가보고 건물이.. 2022. 8. 21.
한강변 외로운 초고층 래미안 첼리투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에 의한 서울내 재건축 재개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또 하나의 관심사는 한강변 35층 고도제한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50층이 된다, 안된다 말고많고 탈도 많은 이 정책에 그냥 봐도 반하는 한 건물이 서울 한가운데 떡하니 서있다. 서울 어디를 가도 한강쪽을 보면 보이곤 하는 이건물, 바로 래미안 첼리투스이다. 어떻게 이렇게 크고 웅장한 건물이 서게 되었을까? 그 비밀은 2009~2012년 한강공공성 개편계획에 있다. 토지의 25% 이상을 기부채납 할 경우,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게 인센티브를 주었고, 부동산 하락기 였음에도 건축을 해 현재 가장 희소하고 가치있는 아파트로 자리잡았다. 이 아파트가 어떻게 이 자리에 서게 되었는지부터 설명을 하자면.. 2022. 3. 3.
계속 변화중인 여의도 스카이 라인 (IFC) 이전 포스팅에서 여의도 아파트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역시 여의도 하면 한국 금융의 중심지이다. 증권거래소와 수많은 증권사 건물이 즐비해 있으며,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 국제금융센터, 최근 완공된 파크원까지 기존의 아파트와 오피스가 주를 이루던 건물 구성에 상업시설(더현대 서울, IFC몰)까지 생기면서 서울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매력적인 장소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맨하탄의 스카이라인처럼 여의도도 이명박 서울시장 시절 마천루를 짓는 계획이 함께 세워졌는데 그 건물들이 15년여 만인 지난해 파크원 빌딩의 완공으로 완성되었다. 완공 순서대로 IFC, 전경련회관, 파크원에 대해 작성하고자 한다. 세 건물모두 우리나라에선 매우 드문 200m가 넘는 초고층 빌딩이다. 짓는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고, 현재는 주거시설.. 2022. 1. 21.
한국종합무역센터 (World Trade Center 서울) 2022년 현재, 서울의 왠만한 높은지형에서 강남쪽을 보면 눈에 가장 먼저들어오는 곳은 강남은 아니지만 어쨌건 롯데월드타워다. 그러나 그 이전에 가장 먼저 눈에 띄던 빌딩은 우리가 Coex라 부르는 한국종합무역센터 (WTC 서울)와 강남파이낸스빌딩(GFC) 일 것이다. GFC는 지대가 높아 건물높이에 비해 더 우뚝 솟아보이지만 무역센터는 평지에 있음에도 그 규모가 엄청나다. 사실 이 글을 포스팅하기 전에 무역센터가 50층 정도 되는줄은 알았지만 229m가 넘는 건물인줄은 솔직히 몰랐다. 이렇게 63빌딩의 아성이 대단했던 것인가? 전망대가 없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1983년 한국무역협회가 삼성동에 무역전반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목적으로 1988년 8월에 세운 복합시설이다. 극동건설이 시공했으며, 이 빌.. 2022. 1. 5.
서울의 마천루 (서초동 삼성타운) 서울시 서초구 서초2동 1321-15 삼성생명서초타워 내가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한 곳이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무려 6년반을 한건물에서 근무했으니 짧은 시간은 아니었다. 여기다닐 때 큰 교통사고도 났고, 태풍으로 인한 엄청난 자연재해도 구경했으며, 결혼도 했고, 첫 아이도 여기 다닐떄 낳았으니 인생에 있어 참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억이다. 지금도 이 앞을 지나갈때면 항상 옛날 생각이 많이나고 그 당시 친구들과 만날때도 이곳에 아무도 연이 없음에도 C동 지하1층에 아티제는 꼭 가곤한다. 강남역 사거리에 웅장하게 들어서 있으며 강남역 서쪽에 높은 건물이 없다보니 경부고속도로와 강남대로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건물이다. A,B,C동 세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동은 삼성생명이 발주처로 39층(151m).. 2022. 1. 4.
주상복합 아파트가 가장 높다고? 1985년 완공된 63빌딩은 거의 20년을 우리나라 최고층 빌딩으로 위세를 떨쳤다. 그사이 많은 계획들이 있었지만 90년대 모두가 아는 IMF가 오면서 다 무산되었다. 삼성그룹이 도곡동땅에 지으려던 일명 시너지타워가 대표적이다. 그렇게 63빌딩의 상징성이 더욱 짙어질때쯤 갑자기 목동과 도곡동에 당시 이름도 낯설던 주상복합아파트를 짓는다했다. 물론 이 건물들도 착공당시에 원대한 꿈을 가졌다 사그러진 다른 건물들처럼 될거라는 생각들도 많았는데 어쨌건 63빌딩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서울에서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등극한다. 1) 목동 하이페리온 90년대초반 정부의 200만호 대책이 발표되고 1기 신도시가 완공될때쯤 서울에는 더이상 택지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빈땅이 있더라도 대부분 상업시설이었다.. 2021. 12. 31.
63빌딩에서는 로보트 태권브이가 나온다 ① 63빌딩은 정말 63층일까? ② 63빌딩에는 옥상에서 정말 미사일이 나올까? ③ 63빌딩은 정말 금으로 되어 있을까? ④ 북한은 63빌딩에 자극받아 더 높은 건물을 지으려 했을까? ⑤ 63빌딩에서는 로보트 태권브이가 나올까? 이런 얘기하면 정말 실없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저 5개의 질문중에 세개는 맞는 얘기인게 더 황당하다. 정확히는 3.5개가 맞을 지도 모르겠다. 우선 질문에 대한 답부터 하자면 1번은 지상 60층 지하3층이니 0.5점이고, 2번은 진짜 방공부대가 있던 것은 매우 유명한 이야기이다. 3번은 리모델링하면서 달라지긴 했지만 과거에는 진짜 금이 유리에 덧씌워져 있었다고 한다. 4번도 오늘 외신에서 "하얀코끼리"라며 혹평을 받은 류경호텔을 63빌딩에 자극받아 북한이 1987년 설계를 시.. 2021. 12. 27.
종로 삼일빌딩 : 우리나라 최초의 커튼월 빌딩 오늘 이야기할 서울의 마천루는 종로 관철동에 있는 삼일빌딩이다. 앞서 소개했던 한진빌딩과 정부종합청사에 이어 1970년 완공되었다. 높이에서 처음으로 30층을 넘었고(31층), 100m도 넘었다(114m) 뿐만 아니라 1985년 63빌딩이 서기 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김두식 회장이 설립한 삼미그룹의 모태인 대일목재공업이 발주처로 당대 최고의 건축가였던 김중업씨가 설계를 맡고 삼환기업에서 시공을 맡았다. 당시 높이로 세간의 관심을 끈것 이외에도 각종 교과서, 정부 홍보책자에 빠지지 않고 등장했으며, 건축학의 역사에서도 굉장히 드물게 철골을 외벽으로 드러내고 내력벽 없이 그 사이를 유리로 채우는 커튼월 방식으로 지어졌다. 지금이야 너무 흔한 공법이지만 50년전에는 굉장히 어려운 공사였다... 2021. 12. 26.
서울의 마천루 (한진빌딩)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다시피 전후 서울에서 딱히 고층이라 할 건물은 전무했다. 오죽하면 신라시대에 지어진 황룡사 9층 목탑이 1300여년간 최고층 건물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겠는가? 그러다 조중훈 한진그룹 회장은 1969년 9월 소공동(2호선시청역 9, 10번출구 위치)에 그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23층(82m)짜리 건물을 짓는다. 당시 그 건물은 굉장히 파격적이었는데 엘리베이트 6대가 설치되어 있었고, 헬리곱터가 이착률 할 수 있는 헬리포트도 있었다. 게다가 에어컨도 모든 층에 설치되어 있던 당시로서는 최신식 시설을 자랑하였다. 준공식에는 교통장관과 서울시장이 참석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한진빌딩은 지하 2층에 지상 23층 규모로 최초에는 20층과 21층을 한진그룹 계열사들이 사용하고 나머지층에는 임대.. 2021.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