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우리 삶에 불러온 변화는 두말하면 숨넘어간다.
이 시대도 몇가지 단계로 나뉘는데 웹 1.0, 웹 2.0, 웹 3.0으로 나눈다.
우선 웹 1.0시대(1990년~2000년)는 컨텐츠를 생산하는 주체가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했고, 사용자는 읽기 전용으로 정보를 전달받았다.
웹2.0시대(2000~2020년)부터는 지금까지 우리가 가장 익숙한 시대이다. 컨텐츠를 생산하는 주체와 사용자가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기 시작했다. 단순히 접속만 하는것이 아니라 '참여'와 '공유'를 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카페, 엠엘비파크, 디씨인사이드 같은 사이트들이 대표적이다.
이제는 웹 3.0시대라고 한다. AI가 등장하면서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사용자는 이제 읽고 쓰고 신뢰하는 (Read-write-trust) 방식으로 정보를 다시 만들어낸다. 그동안의 정보 이용자는 단순히 인간만이 아니라 인간과 컴퓨터가 정보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웹 3.0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면 지금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각자가 플랫폼 역할과 사용자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웹 2.0시대까지는 플랫폼이 모든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였다면 이제 그 열매가 모두에게 돌아가는 구조가 되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웹3.0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은 크게 4가지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시멘틱 웹(Semantic web)’이다. 인간이 원하는 정보를 찾는 방식이 아니라,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보여주는 맞춤형 웹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여행을 갈 때 숙박 시설·맛집 정보를 사용자가 찾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여행 일정과 기호 등을 반영해 웹이 맞춤화된 정보를 찾아 알려준다.
둘째 ‘메타버스’다. 가상 세계가 전 산업으로 확대 적용됨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공간에서 실감 나는 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블록체인’과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다.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 환경, 즉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며,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즐기거나 공유하는 과정에서 저작권자에게 이용료가 실시간으로 과금되거나, 은행 같은 중개기관 없이도 대출자와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금융 거래를 실행할 수 있다.
넷째,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이다. 인간-기계-사물의 커뮤니케이션 시대가 온다. 사물인터넷(IoT)이 급속도로 보급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종류와 양이 급증하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수많은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 인프라 등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는 시대다.
웹 3.0시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미래를 준비하고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모두 좋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것은 AI가 작동할 수 있게 디자인하고, 그 정보에 의해서만 행동하는 것이 아닌 지식과 공유 흐름에 대한 주도권을 갖는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유튜브의 AI추천도 좋지만 내가 아직까지 아침마다 집에 배달되는 신문을 보는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알고 싶은 것만 볼 권리도 중요하지만 알아야할 세상의 지식을 지배할때 비로소 빅브라더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우리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용기에 담긴 음식들 안전할까? (0) | 2022.06.09 |
---|---|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무효 소송 6년만에 마무리 (0) | 2022.05.08 |
치킨 가격이 계속 오르기만 한 이유 (0) | 2022.04.17 |
러시아가 금이 많은걸 몰랐다고? (0) | 2022.03.30 |
4년 계약 임대인에 인센티브 준다. 임대차 3법 손질 (0) | 2022.03.28 |